반응형 finally2 예외처리... 코딩을 하다보면 종종 실수를 하는데.. 무슨 자신감인지.. Jvascript 코딩할 때는 예외처리를 종종 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Javascript는 애러 발생시 스크립트가 더이상 실행이 되지 않고 콘솔에만 애러 내용이 출력이 된다. 이때, 사용자는 이유를 알수없고 화면은 그냥 멈춘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try.. catch 를 사용하여 스크립트가 죽는 걸 방지하고, 에러시에 적절한 안내 등 뭔가를 할수 있다. * 문법 try{ // 코드 }catch(err){ // 에러 핸들링 } 기본 문법은 간단하다. try{...} 내에 코드를 실행하고 이상이 있으면 catch(err) {..} 로 이동하며, err 변수에 에러 내용을 전달함 (이때 err의 명칭은 아무거나 상관이 없음). ** 주의할점 - .. 2022. 6. 2. promise * Promise 객체는 비동기 작업이 맞이할 미래의 완료 또는 실패와 그 결과값을 나타냄. 미래의 어떤 시점에 결과를 제공하겠다는 약속(promise)를 반환 함. Promise를 사용하여 작업이 끝났을때 호출하는 callback 함수 대신 .then 메소드를 사용하여 명확하게 코딩할 수 있다. * 상태 - 대기(pending) : 이행하지도, 거부하지도 않은 초기 상태 - 이행(fullfiled) : 연산이 성공적으로 완료됨. - 거부(rejected) : 연산이 실패함 * 생성 - new Promise((resolve, reject) => { }) * 사용법 - 아래와 같이 변수로 선언하면 선언된 프로미스는 즉시 실행된다. let a = new Promise((resolve, reject) => {.. 2022. 5. 2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