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foreach3

Set 셋은 잘 쓸일이 없긴한데.. 가끔 배열의 항목중에 중복을 제거해야할 일이 있을때 사용하면 유용할거 같다. Set은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 값을 모아놓은 특별한 컬렉션 키가없는 값이 저장됨 * 주요 메서드 new Set(iterable) : 셋을 만듬 . 이터러블 객체를 전달받으면 그 안의 값을 복사해서 넣어줌 set.add(value) : 랎을 추가하고 셋 자신을 반환 set.delete(value) : 값을 제거. 호출 시점에 셋 내에 값이 있어서 제거에 성공하면 true, 아니면 false 반환 set.has(value) : 셋 내에 값이 존재하면 true, 아니면 false set.clear() : 셋을 값을 비움 set.size : 셋내의 값의 갯수 let set = new Set(); let le.. 2022. 6. 21.
Map 내가 진행한 웹 프로젝트에서는 거의 쓰지 않는거 같은데... React와 React Native를 잠간 보니.. 그래도 꽤 쓰는거 같아.. 미리 개념을 정리 해 둔다. Map 은 키가 있는 데이터를 저장 한다. * 주요 메서드와 프로퍼티 new Map() : 맵 생성 map.set(key, value) : key를 이용하여 value를 저장 map.get(key) : key에 해당하는 값을 반환. key가 존재하지 않으면 undefined를 반환 map.has(key) : key가 있으면 true, 없으면 false map.delete(key) : key에 해당하는 값을 삭제 map.clear() : 맵의 모든 요소 제거 map.size : 요소의 갯수 반환 let map = new Map(); map... 2022. 6. 20.
Javascript 간편정리 * Javascript는 모든 브라우저에 기본 탑재 되어 있음. * console.log() => 브라우저의 콘솔에 괄호안의 내용을 출력 해 줌 * 변수선언 - 상수 : const -> const conArray; - 변수 : let -> let letAr; * 변수타입 - integer : const a = 1; - string : const a = "1"; - boolean : const a = true; - null : const a = null; - undefined : const a; - array : const a = ["1", "2", "3", "a"]; - object : const a = {}; * 함수 - 키워드 : function 으로 시작. 함수명 + () {코드블록} 로 완성 - .. 2022. 5. 16.
반응형